699 | 72_4 | [일반논문] 사회적 시간’의 고고학적 연구  | 고일홍 |
698 | 72_4 | [일반논문] 타부키와 페소아 문학에서의 환상, 꿈, 복수성 연구  | 김호영 |
697 | 72_4 | [일반논문] 에도시대 여성 교육과 리터러시  | 이미숙 |
696 | 72_4 | [일반논문] 1930년대 후반 대중소설 속 지식인 청년상 고찰  | 정하늬 |
695 | 72_3 | [서평] 여성 이야기로서의 『겐지 모노가타리』 읽기  | 김병숙 |
694 | 72_3 | [일반논문] 자크-루이 다비드의 회화와 ‘위대한 인물’의 관념  | 하상복 |
693 | 72_3 | [일반논문] 왜 플라톤을 번역하는가? 르네상스 플라톤주의자 피치노의 대답  | 송유레 |
692 | 72_3 | [일반논문] 『맹자』의 ‘방심’(放心)과 『메논』의 ‘다이달로스’로 본 ‘심(心)-영혼(psyche)’의 구조 고찰  | 이원진 |
691 | 72_3 | [일반논문] 근대국가의 형성, 민족주의, 그리고 고고학  | 조대연 |
690 | 72_3 | [일반논문] Jian/ Villette: Anglo-American Feminist Criticism Revisited  | Choe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