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02 | 72_4 | [일반논문] 김보경, ‘포토제니론’ 정신의 계승과 발전 방식에서 나타난 영화 이미지의 역량과 몽타주 사유  | 강경래 |
701 | 72_4 | [일반논문] ‘적의 소멸’과 정치신학  | 김항 |
700 | 72_4 | [일반논문] 16세기 어느 도망노비 가족의 생존전략  | 이혜정 |
699 | 72_4 | [일반논문] 사회적 시간’의 고고학적 연구  | 고일홍 |
698 | 72_4 | [일반논문] 타부키와 페소아 문학에서의 환상, 꿈, 복수성 연구  | 김호영 |
697 | 72_4 | [일반논문] 에도시대 여성 교육과 리터러시  | 이미숙 |
696 | 72_4 | [일반논문] 1930년대 후반 대중소설 속 지식인 청년상 고찰  | 정하늬 |
695 | 72_3 | [서평] 여성 이야기로서의 『겐지 모노가타리』 읽기  | 김병숙 |
694 | 72_3 | [일반논문] 자크-루이 다비드의 회화와 ‘위대한 인물’의 관념  | 하상복 |
693 | 72_3 | [일반논문] 왜 플라톤을 번역하는가? 르네상스 플라톤주의자 피치노의 대답  | 송유레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