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1301 | 82_3 | [휘보] 휘보 및 규정  |  | 
| 1300 | 82_3 | [서평] ‘역사화’의 방법으로  다시 읽는 최인훈  | 김도민 | 
| 1299 | 82_3 | [서평] 식민지 토목관료 연구의 디딤돌  | 고태우 | 
| 1298 | 82_3 | [일반논문] ‘문학’ 이후의 한국 문학 연구  | 박슬기 | 
| 1297 | 82_3 | [일반논문] 앤소니 드 멜로의  종교사상에 관한 연구  | 최용운 | 
| 1296 | 82_3 | [일반논문] ‘피한 자’의 죄의식과  ‘세대 공동 운명’의 모색  | 이지은 | 
| 1295 | 82_3 | [일반논문] 김종삼 시의 디아스포라적  주체와 양가적 경계성  | 서진영 | 
| 1294 | 82_3 | [일반논문] 정지용 시의 제유적(提喩的) 세계관에 나타난 주체의  존재 갱신 양상 연구  | 이슬아 | 
| 1293 | 82_3 | [일반논문] 근대 동아시아 역사학에서  ‘종주권’ 개념의 형성  | 김종학 | 
| 1292 | 82_3 | [일반논문] 고문서로 본 조선 후기  환자의 질병과 치료  | 김성수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