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42 | 60 | [기획논문] 피에르 마슈레의 문학적인 철학  | 진태원 |
441 | 60 | [기획논문] ‘신화의 구조분석’에 대한 뒤랑의 비판에 관한 연구  | 김종우 |
440 | 59 | [서평] Hulya Canbakal, Society and Politics in an Ottoman Town  | 이은정 |
439 | 59 | [일반논문] 고구려 지명 ‘혈구군(穴口郡)’의 ‘혈(穴)’에 대하여  | 임홍빈 |
438 | 59 | [일반논문] 한국 개신교전통의 경전읽기에 나타난 수행적 발화  | 유요한 |
437 | 59 | [일반논문] 월하임과 월튼의 묘사론 비교  | 오종환 |
436 | 59 | [일반논문] 스코틀랜드 종교학의 회고와 전망  | 안신·허우성 |
435 | 59 | [일반논문] 이상 소설 「童骸」에 나타난 감각의 문제와 글쓰기의 이중적 기호들  | 송민호 |
434 | 59 | [일반논문] 일본 정치소설의 수용과 한국 신소설의 다층화  | 노연숙 |
433 | 59 | [일반논문] “우리의 고요한 나날들” (Our Halcyon Days)  | 김윤경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