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82 | 64 | [일반논문] 현상학적 공간구성에서 '깊이'지각  | 신호재 |
481 | 64 | [일반논문] 일본의 공자묘 대중화 정책과 조선 내 공자묘 인식의 변화  | 류미나 |
480 | 64 | [일반논문] 『돈키호테』 비평의 몇가지 반성적 회고와 성찰  | 김춘진 |
479 | 64 | [일반논문] 여진족 추장 하질이의 실록상 이표기에 대하여  | 김주원 |
478 | 64 | [일반논문] 식민지시대 독일영화의 수용양상 연구  | 김승구 |
477 | 63 | [서평] 한국의 영문학 연구가 도달한 지평-[역사로서의 영문학]을 읽고  | 유희석 |
476 | 63 | [일반논문] 철학과 인문학, 개념적 상호작용의 역사  | 황수영 |
475 | 63 | [일반논문] 도시와 내면:레스티프 드 라 브르톤의 [파리의 밤]의 한 독법  | 이영목 |
474 | 63 | [일반논문] 한국 모노크롬 미술의 '정체성담론'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고찰  | 윤진이 |
473 | 63 | [일반논문] 맹자의 확충논리  | 김창환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