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695 | 72_3 | [서평] 여성 이야기로서의 『겐지 모노가타리』 읽기  | 김병숙 |
| 694 | 72_3 | [일반논문] 자크-루이 다비드의 회화와 ‘위대한 인물’의 관념  | 하상복 |
| 693 | 72_3 | [일반논문] 왜 플라톤을 번역하는가? 르네상스 플라톤주의자 피치노의 대답  | 송유레 |
| 692 | 72_3 | [일반논문] 『맹자』의 ‘방심’(放心)과 『메논』의 ‘다이달로스’로 본 ‘심(心)-영혼(psyche)’의 구조 고찰  | 이원진 |
| 691 | 72_3 | [일반논문] 근대국가의 형성, 민족주의, 그리고 고고학  | 조대연 |
| 690 | 72_3 | [일반논문] Jian/ Villette: Anglo-American Feminist Criticism Revisited  | Choe |
| 689 | 72_3 | [일반논문] 허먼 멜빌의 「필경사 바틀비, 월가의 이야기」에 나타난 바틀비의 저항 대상 연구  | 이광진 |
| 688 | 72_3 | [일반논문] 중국의 한국어 듣기 교재 제시대화문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 | 노성화 |
| 687 | 72_3 | [일반논문] 이상문학에서 되살아나는 ‘해태’  | 고현혜 |
| 686 | 72_3 | [일반논문] 『노걸대』와 『박통사』에 나타나는 ‘파’(罷)의 언해 양상 고찰  | 김해금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