○ 역서 ∙ 孫歌 著, 류준필․김월회․최정옥 공역, 『아시아라는 사유공간』, 서울: 창비, 2003. 10. 1 ∙ 이정훈․박상수 편, 김월회 등 역, 『동아시아 인식 지평과 실천 공간』, 서울: 아연출판사, 2010
○ 저서 ∙ (공저) 김월회ㆍ김헌, 『무엇이 좋은 삶인가―동서양 고전에서 찾아 가는 단단한 삶』, 서울: 민음사, 2020. 12. 1-353 ∙ (공저) 김월회ㆍ안재원, 『인문정신이란 무엇인가―동서양 고전과 문명의 본질』, 서울: 도서출판 길, 2021. 1. 1-443. ∙ 김월회 지음, 『깊음에서 비롯되는 것들―삶터의 인문적 재구성』, 서울: 논형, 2019. 5. ∙ 김월회 지음, 『춘추좌전―중국문화의 원형이 담긴 타임캡슐』, 서울: 풀빛, 2009. 5. ∙ 김월회 지음, 『살아 움직이는 동양고전들』, 서울: 안티쿠스, 2007. 7. ∙ (공저) 『근대어 근대매체 근대문학――근대 매체와 근대 언어질서의 상관성』, 성균관대학교동아시아학술원, 2006. ∙ (공저-12명) 『중국의 지식장과 글쓰기』, 서울: 소명출판, 2011. 4. ∙ (공저) 『문명 안으로』, 파주: 한길사, 2011. ∙ (공저) 『문명 밖으로』, 파주: 한길사, 2011. ∙ (공저) 『학문간 경계를 넘어 : 미래의 학문은 어떻게 만나고 소통하고 융합할 것인가』, 서울: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, 2011. ∙ (공저-7명) 『중국 개항도시를 걷다――소통과 충돌의 공간, 광주에서 상해까지』, 서울: 현암사, 2013. 5. ∙ (공저-9명) 『중심과 주변의 삼중주』, 서울: 소명출판, 2015. 2. ∙ (공저-8명) 『중국학교1, 2』, 파주: 청아출판사 2016. 5, 전체 473쪽 중 194-247쪽 집필 ∙ (공저) 『고전의 힘, 그 역사를 읽다』, 서울: 현암사, 2016. 8. 29. 1부 <동양편> 13-136. ∙ (공저-10명) 『문명장치로서의 이야기――이야기의 형성하는 힘 그리고 중국』, 서울: 소명출판, 2018. 1. 11-78.
○ 교재 ∙ 김월회 풀어씀, 『고전과 놀이―방법으로서의 논어』, 서울: 서울대출판문화원, 2009. 5. |